라벨이 컴퓨터인 게시물 표시

https://usevia.app 사용법.

https://usevia.app - 기본 사용법. via를 설정하기 위해 Juoya gmk70.json 같은 파일이 필요하며, 키보드의 레이아웃, 지원하는 기능 등 정보가 있어 이를 로딩해 키 기능을 설정할 수 있게 합니다. 키보드 제조사에서 다운 받으세요. http://www.zuoya.top/qdxz 사이트에서 Juoya gmk70.json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s://usevia.app/ 을 크롬에서 접속합니다. 상단 settings 탭에 들어갑니다. Show Design tab 항목을 체크하면 상단탭에 design이 추가됩니다. 상단 design탭에 진입해 Juoya gmk70.json 파일을 엽니다. 상단 CONFIGURE 탭에 진입해 Authorize device 버튼을 클릭하고 Juoya gmk70을 연결합니다. - 레이어 키 설명. MO - 임시 전환 (누르는 동안) - 키를 누르고 있는 동안만 레이어 활성화. FN - 임시 전환 (레거시) - MO와 동일하게 작동. TG - 영구 전환 (토글) - 한 번 누르면 켜지고, 다시 누르면 꺼짐. OSL - 일회성 전환 - 다음 한 번의 키 입력에만 레이어 적용. TO - 레이어 이동 - 지정된 레이어로 완전히 이동. DF - 기본 레이어 설정 - 키보드의 기본 레이어를 영구적으로 변경. TT - 탭 토글 / 홀드 임시 전환 - 누르고 있으면 MO, 여러 번 탭하면 TG. - 매크로. 매크로 레코드는 잘 안되서 텍스트로 저장했습니다. 컨트롤 + 쉬프트 + v 매크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KC_LCTL,KC_LSFT,KC_V}

ZUOYA GMK26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 다운로드. http://zuoya.top/qdxz 에서 "ZUOYA GMK26 20250329.zip" - 압축 풀기. - QMK Toolbox 설치. 프로그램을 처음 실행할 때 필요한 드라이버 설치를 진행. - QMK Toolbox실행. "Open"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한 .bin 펌웨어 파일을 선택. - GMK26을 DFU(Device Firmware Upgrade) 모드 진입. 키보드에서 USB 케이블을 분리한 후, 볼륨 노브를 누른 상태로 USB 케이블을 다시 연결하면 DFU 모드로 진입. 또는 키보드가 이미 QMK 펌웨어를 사용 중이라면, ESC 키를 누른 상태로 USB 케이블을 연결해도 DFU 모드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 - 펌웨어 업그레이드. DFU 모드에 진입하면 QMK Toolbox의 "Flash/Exit DFU"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Flash" 버튼을 클릭하여 펌웨어 플래싱 과정을 시작하고, "OK" 메시지가 나타날 때까지 기다립니다. 플래싱이 완료되면 "Exit DFU" 버튼을 클릭하여 DFU 모드를 종료합니다.

샤오신 12.7 2025 글로벌롬 펌웨어 설치 및 업글.

경고 : 글로벌 롬 설치 시도 중 발생한 문제에 대해선 작성자가 책임지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잘 모르면 반글화로 사용하세요. 이 글은 제가 펌웨어 업그레이드할 때 참고하기 위해 작성했습니다. 처음 하시면 맨 아래 참고에 유튜브 동영상을 참고하세요. 전 유튜브 링크와 아무 관련 없습니다. --------------------------- - 간단 순서. --------------------------- - 펌웨어, MTK Driver, scatter 파일 다운로드. - MTK Driver 설치. - scatter 파일 적용.(<펌웨어 폴더>\image) - 펌웨어 백업. - 샤오신 복구모드로 켜기.(볼륨 상 버튼) - 펌웨어 툴 실행. (SPFlashToolV6.exe) - Download-XML, Authentication 파일 선택.<펌웨어 폴더>\image\download_agent\flash.xml, <펌웨어 폴더>\image\da.auth - lk_a, lk_b, dtbo_a, dtbo_b 체크해제, 업그레이드는 userdata 체크해제. - Auto Reboot 체크 후 Download 버튼 클릭. --------------------------- - 펌웨어 다운로드. --------------------------- 아래 2가지 방법중에 하나를 선택해 다운로드 받으면 됩니다. -- https://mirrors.lolinet.com/firmware/lenowow/2024/Idea_Tab_Pro_2024/TB373FU/ -- lenovo software fix https://pcsupport.lenovo.com/py/ko/rescue-and-smart-assistant 로그인 후 아래 단계로 펌웨어를 다운로드 받으세요. Rescue - Input Serial Number - HAHAHAHA 입력 - Select your model from a list - TB373FU 검색 다운로드 받은 펌웨어 위치. 폴더는 soft...

Juoya gmk70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이미지
키보드 ESC 키를 누른 상태로 usb 케이블을 연결하세요. QMK_TOOLBOX_BETA 에 접속됬다는 메세지가 뜹니다. 이후 '플래시' 버튼을 눌러 업데이트를 합니다. - 오른쪽 키보드 업데이트. 키보드 usb 케이블을 제거하세요. 좌우 중간 연결 케이블도 제거하세요. 다음 설명은 아래 사진을 참고하세요. 오른쪽 키보드 ALT 키 옆에 있는 토글 스위치를 하단으로 설정합니다. 스페이스바의 좌우 구멍을 클립, 핀셋 등 전도성 도구로 연결합니다. 컴퓨터와 오른쪽 키보드를 연결 합니다. QMK_TOOLBOX_BETA 에 접속됬다는 메세지가 뜹니다. 이후 '플래시' 버튼을 눌러 업데이트를 합니다. 업데이트 후 토글 스위치를 원위치에 놓습니다. 이후 두 키보드를 연결하고 키보드를 컴퓨터에 연결한 후 FN+백 스페이스를 3 초 동안 눌러 EEPROM을 재설정 하세요. 이 과정을 거쳐야 업데이트된 펌웨어가 안정적으로 작동합니다. 오른쪽 키보드 업데이트 방법은 직접 쇼트를 하는 것으로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아래는 더 간략한 방법입니다. 제가 해보지는 않았습니다. - VIA를 이용한 방법 (더 쉬운 대안) 쇼트 방법이 어렵다면 VIA 프로그램을 이용해 DFU 모드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토글 스위치 조작: 우측 Win 키 근처의 토글 스위치를 아래로 내립니다. 우측 키보드 연결: USB 케이블로 우측 키보드만 컴퓨터에 연결합니다. VIA 실행: 웹 기반 또는 설치형 VIA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키보드를 인식시킵니다. 리셋 키 지정: VIA의 'KEYMAP' 탭에서 사용하지 않는 키 하나를 선택한 후, 'SPECIAL' 메뉴에 있는 RESET (또는 QK_BOOT) 키로 지정합니다. DFU 모드 진입: 방금 지정한 RESET 키를 누르면 우측 키보드가 DFU 모드로 재부팅됩니다. 펌웨어 플래시: QMK Toolbox를 확인하여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보고, 펌웨어 파일을 열어 'Flash'를 진행합니다. 마...

Juoya gmk70 좌우 분리형 키보드 리뷰 및 설정 방법.

스위치나 키캡이 있다면 저렴한 가격에 좌우 분리형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빌드 퀄리티가 좋습니다. 묵직하고 방음 방진 처리가 잘되어 있어 타건감도 좋습니다. via(커스텀 키보드의 키 맵핑)를 지원해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제조회사가 지원을 끊거나 망하더라도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는 좀 복잡한 거 같습니다. 설명서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AI의 도움과 검색으로 설정을 했습니다. via(커스텀 키보드의 키 맵핑)를 지원하는 키보드로 일반 사용자에게는 약간 과하게 기능이 많고 복잡할 수 있습니다. Juoya gmk70.json 파일이 있다면 웹브라우저에서 설정이 됩니다. 컴퓨터와 연결하는 usb c 케이블은 2.0 짜리 아무거나 사용해도 됩니다. 키보드 좌우를 연결하는 중간 케이블은 썬더볼트 케이블이면 가능합니다. dp alt mode(그래픽 연결)를 지원하는 케이블에서 동작합니다. 정확하게는 USB Type-C to Type-C Full-featured 케이블 입니다. 충전용, 데이터 통신만 가능한 케이블은 동작하지 않습니다. usb c breakout board female 보드로 중간 연결 케이블의 연결을 확인해 보니 vcc, gnd, d+, d-, a5-a5-b5-b5, a8-a8-b8-b8 핀이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양쪽 핀 a5-a5-b5-b5 개가 모두 연결된 구조입니다. 선6개만 필요한 구조로 USB Type-C to Type-C Full-featured 케이블을 사용하기에는 너무 굵고 과하기는 하지만 중간케이블이 망가지거나 잃어버렸을 때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설정방법. 아래 순서대로 하면 됩니다. via를 지원하는 키보드는 모든 키의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습니다. via를 설정하기 위해 Juoya gmk70.json 파일이 필요하며, 키보드의 레이아웃, 지원하는 기능 등 정보가 있어 이를 로딩해 키 기능을 설정할 수...

Cloud Nine C959 ErgoTKL 중간 연결 usb-c 케이블 자작.

이미지
Cloud Nine C959 ErgoTKL 을 떨어뜨렸는데 케이블이 망가졌습니다. 직구할 때도 마땅치 않고, 홈페이지도 매진이라 자작 했습니다. 하지만 어지간하면 사세요!! 인간이 할 작업이 아니었습니다. 취미 인두질 하는 레벨에서는 말도 안되는 난이도 였습니다. 그리고 Cloud Nine 사지 마세요. 범용적인 부품으로 연결하는 알리에서 사세요!! usb-c케이블이라 아무선이나 연결될지 알았는데 썬더볼트 케이블도 안되더군요. - 재료. 주재료 - usb-c 17핀 플러그, 랜선, AB에폭시본드. 부재료 - usb c breakout board female. 도구 - 인두 기본 세트, 테스터기, 확대경, 안전공구(환풍기, 마스크, 보호안경 등). - 재료 설명. usb-c 플러그는 GND, VCC, D+, D-, A5, B5, A8, B8 핀이 있으면 됩니다. 제가산 usb-c 17핀 플러그는 D+, D- 가 한쪽에만 연결이 되어 플러그에 위아래 방향성이 있습니다. 연결해서 잘 안되면 뒤집어 꽂았습니다. 랜선은 가장 얇은게 좋습니다. 납땜할 공간이 쌀알 한개 공간도 안됩니다. 집에 있는 가장 얇고 싼티나는 플랫랜선으로 했습니다. 욕심을 부려 일반5E랜선으로(가장싼) 시도했는데 전선이 너무 굵어 옆에 핀과 붙었습니다. USB 플러그, 회로, 케이블 보호를 위해 AB에폭시본드로 외관을 만들었습니다. 조합이 잘못되면 굳지 않고 말랑해지니 저울로 정확하게 계량해 사용했습니다. 여러가지 재료를 봤지만 침투성이 있어 pcb와 케이블 보호에 좋고, 단단해서 에폭시가 가장 적합했습니다. 잘 보이진 않지만 가능하면 선호하는 색으로 만드세요. usb c breakout board female는 어떤 핀을 연결해야 하는지 파악하고, 전선조립시 핀에 맞는 케이블을 찾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 도구 설명. 납땜할 부분이 쌀알 한개도 안될 정도로 작기 때문에 도구에 대해 고려할 부분이 많았습니다. 온도조절 되는 인두기에 t12 BL팁으로 작업 했습니다. 뾰족한 인두팁은 끝부분에 열...

모니터 배치와 사용에 대한 기록, 노안, AI 등 환경변화.

개인적으로 여러 모니터를 사용하고 배치해본 경험입니다. 노안, AI 사용에 따른 환경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 페이지는 아래 항목으로 작성 했습니다. - 환경. - 모니터 조합 별 기록. - 기타 사항. ----------------------------------------------------- -- 환경. ----------------------------------------------------- - 사용해본 모니터들. 삼성 43인치 4K LG 34인치 21:9 삼성 32인치 4K DELL 30인치 QHD 16:10 AOC 27인치 4K 중소기업 27인치 QHD 벤큐 25인치 FHD LG 24인치 FHD 중소기업 24인치 FHD 정림 24인치 1k 16:10 - 모니터 사용처. 텍스트 컨텐츠, 코딩, 게임 약간. ----------------------------------------------------- -- 모니터 조합 별 기록. ----------------------------------------------------- - 중소기업 27인치 QHD, 중소기업 24인치 FHD 오래 잘 사용했는데 뿌옇게 보이는게 노안인 줄 모르고 교체함. 27인치가 좌우로 큰 감이 있어 듀얼로 사용시 시야가 밖에 나감. QHD라 DPI스케일 키워도 폰트 가독성이 좋았음. - LG 34인치 21:9, AOC 27인치 4K 노안인 줄 모르고 중소기업 모니터라 안좋은줄 알고 브랜드로 교체함. 좌우로 길긴한데 창 두개 띄우긴 좁고, 하나 띄우긴 너무 많이 남음. 음악, 영상 편집하는 사람 아니면 별로인거 같음. - 삼성 43인치 4K 노안인 걸 자각하게 됐고, 안경쓰기 싫어서 큰 모니터로 교체함. 이동식 모니터 스탠드에 작은 접이식 책상을 사용함. 모니터와 눈의 거리가 1.2~1.5m 정도로 안경을 안 써도 됐지만,  FHD 모니터 한개를 사용하는 것과 같아 생산성이 떨어짐. 모니터 한개만 써도 충분하고, 안경을 쓰기 싫고, 충분한 면적이 확보된다면 괜찮음. -...

LuxPDF - pdf 변환, 분할, 합치기 툴.

https://github.com/VSRemoter/LuxPDF 1. 위의 페이지를 열고 Code ->  Download ZIP 을 눌러 다운로드 받는다. 혹은  Download ZIP  이 링크의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2. 압축을 푼다. 3. 2가지 방법으로 실행할 수 있다. - html 파일을 웹브라우저에서 직접 실행. 간단하지만 이 경우 다른 pdf툴을 열수 없다.  - 간이 http 서버로 실행. ///////////////////////////////////////////////////////// - html 파일을 웹브라우저에서 직접 실행. 4. 압축을 푼 폴더에 아래와 같은 파일을 직접 찾아 브라우저에 열어 사용하면 된다. pdf-to-png.html merge-pdf.html split-pdf.html ///////////////////////////////////////////////////////// - 간이 http 서버로 실행. 4. 압축을 푼 폴더에(index.html 파일이 있는 폴더에)  아래 내용으로 run.bat 파일을 만든다. @echo off REM ========================================== REM Python HTTP 서버 실행 & 브라우저 자동 열기 REM ========================================== REM 현재 bat 파일이 있는 경로로 이동 cd /d %~dp0 REM 8000 포트에서 서버 실행 start "" python -m http.server 8000 REM 잠시 대기 (서버가 켜지기 전에 브라우저 열리면 오류날 수 있어서 2초 대기) timeout /t 2 >nul REM 기본 브라우저에서 http://localhost:8000 열기 start http://localhost:8000 5. 파이썬을 설치한다. https://www.python.org/ 6. run.bat 을 실행한다...

msi Modern b5m

이미지

레노버 씽크북 Lenovo ThinkBook 16arp g7 r5 노트북

이미지
메모리, ssd, wifi 업그레이드 후 사진 입니다.  확장성 넓습니다. (메모리슬롯 2개, m.2 슬롯 2개) 외장 모니터 3개 지원합니다. (usb-c 2개, hdmi 1개) 본체까지 모니터 4개 동시 출력합니다. (이게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 - I/0 포트 우측: 1x USB-A (USB 5Gbps/ USB 3.2 Gen 1), 1x SD Card reader, 1x Ethernet (RJ-45) 좌측 : 1x USB-A (USB 5Gbps/USB 3.2 Gen 1) Always On, 1x USB-C (USB 10Gbps/ USB 3.2 Gen 2) with USB PD 3.0 and DisplayPort™ 1.4, 1x USB-C (USB4 40Gbps) with USB PD 3.0 and DisplayPort™™ 1.4(포트설명에는 2.1로 표기됨), 1x HDMI® 2.1 (up to 4K/60Hz),  1x Headphone/microphone combo jack (3.5mm)

윈도우11 바탕화면 폴더가 OneDrive 폴더에 생겼을때 뒤돌리는 방법.

방법. - 탐색기에서 C:\Users\<username>\OneDrive\바탕 화면 경로로 이동합니다. - 바탕 화면 폴더를 우클릭하고 속성(R)을 클릭합니다. - 상단 탭 중 [위치] 탭을 클릭합니다. - 아래쪽에 있는 [기본값 복원(R)] 버튼을 클릭합니다. 문제. 윈도우 11을 설치했습니다. 원드라이브 폴더에 바탕화면 폴더가 생기는 문제가 있습니다. 예)  C:\Users\ddd\OneDrive\바탕 화면 이걸 다시 아래와 같은 폴더로 옮기는 방법입니다. C:\Users\ddd\Desktop

인텔 쿨러 브라켓 마운트 볼트 방식 적용.

이미지
제가 산 cpu쿨러가 amd같이 클립을 눌러 결착하는 방식이라 브라켓을 미리 장착해야 합니다. 브라켓을 핀으로 고정하니 잘 고정이 안되고 풀립니다. (맨 아래 사진이 핀으로 고정하는 쿨러 입니다.) 그래서 볼트로 고정했습니다. 재료는 아래와 같습니다. 브라켓 구멍이 크기 때문에 m5와샤를 추가로 구매했습니다. 알리에서 세트로 팔기도 합니다. 볼트 m3 - 길이 25mm 와샤 m3, m5

Tanix W2(Amlogic S905W2) tv box.

Tanix W2(Amlogic S905W2)를 구매하고 펌웨어 업데이트를 했습니다. 기기 스펙은 좋은데 안드로이드11을 지원해서 아쉬웠습니다. 저는 AMLogic Burn Card Maker 으로 하는 방법이 안되서 AMLogic USB Burning Tool 으로 했습니다. 케이블은 usb-c 2.0 케이블 2개를 연장젠더로 연결했습니다. 펌웨어. https://www.tanixtvbox.com/firmware-centre/ 펌웨어 설치. https://blog.naver.com/destinyrev/222139130994 펌웨어 설치에 조금더 자세한. https://blog.naver.com/serinari/222224893193

윈도우 디스크 관리에서 지워지지 않는 파티션 삭제하는 방법.

- 방법. 명령프롬프트(CMD) 열기. diskpart list disk select disk n (여기서 n은 해당 디스크 번호) list partition select partition n delete partition override 일반 사용자들이 모바일로 옮겨가면서 윈도우에서 GUI 툴을 만들기 보다는 명령프롬프트 사용이 일반화 되는듯함.

blogger.com에서 사용하는 도메인 squarespace(google domains)에서 cloudflare 로 도메인 기관 이전.

이미지
현재 사용 중인 도메인 기관인 Google Domains가 서비스를 종료하여 도메인 기관을 이전했습니다. 비용 절감을 위해 Cloudflare로 옮겼습니다. 설정 방법이 다소 불친절하여, IT 지식이 없는 분들에게는 다른 도메인 기관을 추천합니다. 대략적인 설정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 Cloudflare에서 이전하려는 도메인으로 Websites를 만듭니다. - Squarespace에서 이전하려는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Cloudflare Websites 생성 시 알려준 네임서버로 변경합니다. - 네임서버를 변경한 후 몇 시간에서 하루 정도 지나면 Cloudflare에서 네임서버 확인을 합니다. - Cloudflare에서 현재 도메인 레코드 정보를 가져옵니다. Proxy status를 DNS only로 설정합니다. DNS only 설정을 하지 않으면 사이트 접속이 안 됩니다. - Squarespace에서 DOMAIN LOCK을 해제합니다. - Squarespace에서 이전에 필요한 Request transfer code를 받습니다. - Cloudflare에서 Request transfer code를 입력하고 기관 이전을 신청합니다. - Squarespace에서 정해진 날짜까지 대기한 후 이전이 완료됩니다. 거의 일주일이 걸렸습니다. 자세한 부분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다음은 레코드 설정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맨 아래 Content 부분이 짤린 부분입니다. www.abel9999.com.ghs.googlehosted.com https://www.squarespace.com/ https://www.cloudflare.com/ https://www.wookoa.com/2023/10/blogspot-rootdomain-redirection.html#google_vignette https://www.improvelifes.com/2023/11/2-dns.html https://support.google.com/blogger/ans...

ROYOLE rowrite 윈도우 프로그램.

ROYOLE ROWRITE를 알리에서 구매했습니다. IOS, android APP 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로그인을 해야 하는데 서버가 죽은거 같습니다. 그래서 검색하다 윈도우 데스크탑 프로그램을 발견했습니다. RoWrite_V1.0.3_for_Windows.exe 을 다운받아 사용하면 됩니다. https://www.touslesdrivers.com/index.php?v_page=23&v_code=70675&v_langue=en PC에 블루투스 동글이 있어야 합니다. 다른 PC에 접속하려면 RoWrite_V1.0.3_for_Windows.exe 프로그램 설정에서 연결을 해제해야 합니다. USB연결은 되지 않습니다.

mpv 동영상 플레이어 설치 및 설정.

- mpv는 가볍게 돌아가는 동영상 플레이어 입니다. - 단점은 설정을 텍스트 편집기 열어 설정해야 합니다. - https://mpv.io/ 프로젝트 사이트. ## 설치. - 다음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는다.   + mpv-x86_64-windows-msvc 는 파일 갯수가 적다.   + https://nightly.link/mpv-player/mpv/workflows/build/master   + 64bit-v3를 다운로드 받는다.    + v3는 확장 CPU명령어 빌드 버전으로 보통 사용자는 이걸 받으면 됩니다.   + https://sourceforge.net/projects/mpv-player-windows/files/ - 압축을 푼다. - 이 상태로 사용하는데도 불편 없으면 그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 설정. - 설정 파일 추가.    - mpv.exe 파일이 있는 곳에 mpv.conf 을 생성 합니다.     - 탐색기에서 우클릭하여 '새로만들기' -> '텍스트문서' 로 만듭니다. - 창 리사이즈 끄기.   - mpv는 동영상 사이즈에 따라 자동으로 창의 크기를 변경합니다.   - 저는 불편해서 껐습니다.   - mpv.conf 텍스트 편집기에서 열어 아래 ``` 사이의 텍스트를 복사 합니다.   ``` geometry=40%x40% no-keepaspect-window force-window=yes keep-open=yes idle=yes ``` - seekbar가 작아 크기를 키웁니다.   + https://github.com/tomasklaen/uosc     - 위 사이트에서 uosc.conf, uosc.zip을 다운 받습니다.   + 위 사이트의 Installation 참고해 설치합니다.     - uosc.zip 파일을 mpv.exe에 압축...

레노버(lenovo) L340-15API Picasso R3 BLACK 노트북

이미지
기록용으로 작성 합니다. 2.5인치 하드 드라이브를 2개 설치 가능. 왼쪽 L340-15API 는 TN 모니터. 오른쪽 Slim3-15ALC R5 는 IPS 모니터. 터치패드 옆에 스티커 긴거 붙어 있는거. 모니터 방식에 의한 차이 비교.

레노버(lenovo) ideaPad Slim3-15ALC R5 AMD Ryzen 5 5500u 노트북

이미지
기록용으로 작성 합니다.

AI 기본. 개념.

AI의 기본 개념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 봅니다. 현재 AI는 인공신경망을 기본으로 한다. 인공신경망(neural network)은 사람의 뇌세포인 뉴런과 시냅스를 모방하여 컴퓨터에서 구현한 것이다. 사람의 뇌에는 약 860억개 정도의 뇌세포가 시냅스 연결은 약 100조개 1958년 코넬대학교의 연구원이었던 프랭크 로젯블랜이 제안했다. 이후 조금씩 발전해서 지도학습이 가능해 졌다. 정답이 정해져 있는 학습데이터로 인공신경망을 학습시키는 방법이다. 학습 데이터를 정리하고 선별해야 해서 손이 많이 가고 한계가 있는 방식이다. 2006년  딥러닝의 아버지인 토론토대학 제프리 힌트 교수가  볼츠만 머신(RBM)이라는 비지도형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고안했다. 비지도형 이란 학습데이터의 전처리 과정 없이 학습 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학습데이터에 없는 상황이라도 AI가 유추할 수 있다. 합성곱 신경망(CNN), 순환 신경망(RNN), 생성적 대립 신경망(GAN)이 대표적이고 많이 쓰이는 알고리즘이다. - 참고 [기고] AI 기본 이해하기 https://zdnet.co.kr/view/?no=20220530181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