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Nine C959 ErgoTKL 중간 연결 usb-c 케이블 자작.

Cloud Nine C959 ErgoTKL 을 떨어뜨렸는데 케이블이 망가졌습니다.
직구할 때도 마땅치 않고, 홈페이지도 매진이라 자작 했습니다.

하지만 어지간하면 사세요!! 인간이 할 작업이 아니었습니다.
취미 인두질 하는 레벨에서는 말도 안되는 난이도 였습니다.
그리고 Cloud Nine 사지 마세요. 범용적인 부품으로 연결하는 알리에서 사세요!!
usb-c케이블이라 아무선이나 연결될지 알았는데 썬더볼트 케이블도 안되더군요.


- 재료.
주재료 - usb-c 17핀 플러그, 랜선, AB에폭시본드.
부재료 - usb c breakout board female.
도구 - 인두 기본 세트, 테스터기, 확대경, 안전공구(환풍기, 마스크, 보호안경 등).

- 재료 설명.
usb-c 플러그는 GND, VCC, D+, D-, A5, B5, A8, B8 핀이 있으면 됩니다.
제가산 usb-c 17핀 플러그는 D+, D- 가 한쪽에만 연결이 되어 플러그에 위아래 방향성이 있습니다. 연결해서 잘 안되면 뒤집어 꽂았습니다.

랜선은 가장 얇은게 좋습니다. 납땜할 공간이 쌀알 한개 공간도 안됩니다. 집에 있는 가장 얇고 싼티나는 플랫랜선으로 했습니다. 욕심을 부려 일반5E랜선으로(가장싼) 시도했는데 전선이 너무 굵어 옆에 핀과 붙었습니다. 

USB 플러그, 회로, 케이블 보호를 위해 AB에폭시본드로 외관을 만들었습니다. 조합이 잘못되면 굳지 않고 말랑해지니 저울로 정확하게 계량해 사용했습니다. 여러가지 재료를 봤지만 침투성이 있어 pcb와 케이블 보호에 좋고, 단단해서 에폭시가 가장 적합했습니다. 잘 보이진 않지만 가능하면 선호하는 색으로 만드세요. 

usb c breakout board female는 어떤 핀을 연결해야 하는지 파악하고, 전선조립시 핀에 맞는 케이블을 찾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 도구 설명.
납땜할 부분이 쌀알 한개도 안될 정도로 작기 때문에 도구에 대해 고려할 부분이 많았습니다.

온도조절 되는 인두기에  t12 BL팁으로 작업 했습니다.  뾰족한 인두팁은 끝부분에 열전달이 제대로 안되기 때문에 400도로 인두질을 했습니다. 일반적인 인두질에서 납이 녹는 부분에 대해 신경쓰지 않았었는데 납땜 부분이 작다보니 1mm차이도 크게 느껴졌습니다. 넙적한 인두팁은 너무 두꺼워 불편했고 더 얇은 팁은 열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았습니다.

확대경은 자바라로된 led확대경에 DSLR용 클로즈업렌즈를 붙여 사용했습니다. 확대경 만으로는 부족해 클로즈업렌즈 X5를 붙여 사용했고 간간히 여기에 X2 클로즈업렌즈를 덧붙여 사용했습니다. 배율이 높으면 렌즈와 pcb의 거리가 짧아져야 하므로 적정한 거리를 만들어야 합니다.


- 제작.
-- 안전 확보.
환풍기를 돌리고, 마스크를 쓰고, 보호안경을 쓰고, 작업용 앞치마를 착용했습니다.
랜선준비시 연선을 감아주는 부분까지만 보호장구를 착용하지 않았습니다.
이후 남땝부터 본드 작업까지 계속 착용했습니다.
안전에 유의하세요.

-- 랜선준비.
랜선을 적당한 길이로 자릅니다. 저는 원래 있던 케이블의 2배 정도로 했습니다.
피복을 제거합니다. 안쪽 피복은 납땜시 녹기 때문에 짧게 제거했습니다.
중요 - 핀셋으로 노출된 전선을 잡고 돌려서 연선을 감아줍니다. 안감아주면 납땜시 전선이 퍼지기 때문에 옆에 핀과 붙게 됩니다. 잘 보이지도 않고 손도 많이 가지만 꼭 해줘야 합니다.
감아준 전선에 남땜페이스트(플럭스)를 묻히고 납을 먹여 놓습니다.
전선피복이 약하기 때문에 핀셋으로 선 하나씩 잡아가며 합니다.
핀셋은 열전도가 되는 금속이 피복의 열을 식혀 주기 때문인지 결과가 더 좋았습니다.

-- usb-c 플러그 연결.
플러그의 앞뒤에 플럭스를 바르고 납을 미리 먹여 놓습니다.

8핀을 납땜 합니다.
GND, VCC, D+, D-, A5, B5, A8, B8

납땜이 다된 플러그를 usb c breakout board female에 꽂고 반대쪽 플러그에 납땜할 전선을 찾습니다. 테스터기 통전 모드로 놓고 찾으면 됩니다.

반대쪽도 똑같이 납땜합니다.
플럭스를 핀 하나 연결할 때마다 발라주세요.
이래야 잘 붙고, 옆에 핀과 합선되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잘 연결됬는지, 핀 간에 서로 합선은 되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조심시 키보드에 연결해 테스트 합니다.

-- AB에폭시 작업.
이제 보호를 위해 케이스를 만들어 줍니다.
USB C 플러그가 꼽힐수 있게 본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마스킹 테이프를 붙여줍니다. 
나중에 제거하기 쉽게 양쪽에 손잡이를 만들어 두는 게 좋습니다.
제가 사용한 에폭시 본드는 빠른건조용 금속용 이었습니다. 사용하기 전에 테스트로 미리 섞어서 말려서 통전 되는지 테스트 했습니다.
이쑤시게 같은 막대기로 발랐습니다. 
플러그에 턱이 있는데 이 부분까지 발라야 플러그 연결 제거 시에 힘을 받습니다.
약 5분 방치 후 마스킹 테이프를 제거합니다. 제가 사용한 본드는 이때쯤이 적당했습니다. 그리고 약간의 유동성도 있기 때문에 마스킹 테이브 제거시에 딸려나오는 본드를 정리하기에 적당했습니다. 
작업전에 에폭시 본드를 미리 테스트 해보세요.




작업하기 전에 '바르는 전기테이프'를 발랐는데 
이거 없이 에폭시로 덮는게 더 좋은거 같습니다.

에폭시 본드 작업후.

=========
아래는 보유한 usb-c 17핀 핀맵 입니다.
판매 페이지에 있던 핀맵과 달랐습니다.

8Pin
PCB-CON
B2
B3
B5
B8
VCC
B10
B11
GND

9Pin
PCB-CON
GND
A2
A3
A5
D+
D-
A8
A10
A11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콘탁 Kontakt, KOMPLETE 저렴한 구입 방법.

대성 산업 탁상 시계 DS-173 메뉴얼

약술, 서술, 논술, 사례 답안지 작성 요령.